카테고리 없음
한국어교원 3급 면접 준비) 문법
김가격
2024. 11. 10. 21:49
반응형
1.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특징
대상이 다름. 한국어 모어를 대상으로 하는 학교 문법과 달리 한국과 한국어애 대한 직관이 없는, 다양한 배경의 이들을 대상으로 함.
후자의 경우 의사소통 기능 신장이 주된 목표가 될 수 있겠음.
2. 한국어의 특징
- 주어 목적어 동사의 어순이지만, 비교적 자유롭게 위치가 바뀜
- 발화 시 주어, 목적어가 자주 생략되기도 합니다. 맥락 의존성이 높기 때문
https://m.blog.naver.com/cjylingua/221273733217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의 언어 문화 차이: 한국어와 영어 비교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어와 영어 1.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 1976년, 인...
blog.naver.com
3. 한국어 문장의 종류는
한국어는 의도에 따라 맺음을 달리해서 전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함. 괜히 한국말은 끝까지 들어봐야 한다는 말이 있는 게 아님-
평서문: 객관적 진술 , -다.
의문문: 질문 하고 대답 요구하는 문장.
청유문: 함께 행동할 것을 제안. ~합시다. 할까요?
감탄문: 느낌 표현, ~하네요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