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어 의미론

김가격 2024. 7. 22. 01:07
반응형

1. 의미론?

언어의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

그 연구 대상을 기준으로 크게 3개로 나뉘어지는데,

 

1) 어휘 의미론

- 유의 반의 상하 동음 다의 관계 등 연구

2) 통사 의미론

- 문장에서 나타는 동의성, 중의성, 잉여성 등 문장과 문장과의 관계 연구

3) 화용 의미론

- 화자, 청자, 상황 등 실제 언어가 발화된 내용이 어떤 의미인지?

발회돤 표현과 의미가 일치하기도 하지만 다른 형태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기도 하잖아

 


2. 의미의 개념

1) 말소리: 언어의 형식으로서 귀에 들리는 '구체적' 현상

2) 의미: 언어의 내용, 말소리를 들을 때 머릿속에 떠오르는 '추상적' 내용

 

3) 의미 정의

- 지시설

언어의 의미란 그 언어가 가리키는 지시물이다. 는 주장

단, 이 지시설은 물리적 형태가 없는 것은 표현할 수 없음. ex. 귀신, 사랑, 평화

 

- 개념설

언어의 의미란 그 언어가 가리키는 것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사람들의 머릿속에 있는 관념이다!

나무라는 말을 들었을 때 떠올리는 나무의 이미지. 이것이 나무의 의미라는 것

 

오그덴, 리차즈가 제시한 의미 삼각형. 기호=언어 표현, 지시물=언어가 가리키는 것, 사고=개념. 기호와 지시물은 점선으로 이어져 있는 것이 포인트인데, 직접적인 관계가 아니라는 것

단, 이러한 개념설도 한계가 있음.

사람마다 개념이나 영상에 차이가 있기에 객관적이지 못함

 

 

- 행동설(자극-반응설)

행동주의 견해로, 언어란 행동이다. 화자의 발화가 자극이 되어 청자가 내는 반응이 언어 표현인 것이다.

한계: 화자나 청자가 기대하는 행동이 다를 수 있음. 

 

-용법설(문맥설)

언어 표현이란 문맥에 따라 달라진다.

ex. 손이 모자라다. 나는 손이 커서 문제야. 나는 이제 손 떼겠어.

한계: 언어의 고정된 의미는 알기 어려움

 


3. 의미의 종류

1)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

중심적 의미: 한 단어가 여러 의미로 쓰일 때, 가장 핵심적인 의미

주변적 의미: 중심적 의미를 제외한 여러 다른 의미

ex. 보다

1. 사물의 모양을 눈으로 알다. (중심적 의미)

2. 알려고 두루 살피다.

3. 구경하다.

4. 보살피다.

 

2~4는 주변적 의미인 것

 

다의어: 하나의 단어가 여러 의미가 있는 것

ex. 다리. 원래 동물의 신체 한 부분이지만, 책상다리 등 물건을 지탱하는 아랫부분을 의미하기도 함.

동음이의어: 소리는 같지만 뜻이 다른 경우

ex. 배. 배타고 간다, 배를 먹었다, 배가 아프다

 

2) 외연적 의미, 내포적 의미

- 외연적 의미(개념, 사전적 의미): 가장 기본적 의미, 보편성 ㅇ, 사전에 등재되는 경우가 많음

ex. 여성의 사전적 의미: 성의 측면에서 여자

 

- 내포적 의미(함축적 의미):관습 등에 의해 형성되는 의미로서 개별성과 특수성이 있어 사전에 등재되지 않고 문학 작품에서 쓰임

ex. 여성의 함축적 의미: 부드러움, 섬세함 등

 

 

3) 사회적 의미와 정서적 의미

- 사회적 의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환경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의미.

어떤 사람의 어휘에 따라 그 사람의 계층, 직업, 시대, 방언 등을 알 수 있다는 것

 

- 정서적 의미: 언어표현으로 화자, 청자의 감정을 알 수 있다는 의미로서 어투, 문체 등으로 전해짐.

 

4) 주제적 의미와 반사적 의미

- 주제적 의미: 화자의 강조(억양, 발음, 어순 등)를 통해 화자가 특별이 보여주고자 하는 의미.

 

- 반사적 의미: 단어의 개념과 관계없이 문맥이나 상황에서 특정한 반으을 불러일으키는 의미.

반사적 의미는 단어의 원래 뜻과 관계없이 생각나는 것으로, '청소부'라는 단어에서 불결한 이미지가 연상되어 환경미화원이라는 말로 대체된 경우가 이에 해당

곽두팔 이라는 이름은 강한 남성의 이미지를 연상시킴. 이곳도 반사적 의미의 예

5) 연어적 의미

- 어떤 단어가 다른 단어와 함께 나열되면서 그 문맥 속에서 나타나게 되는 의미.

옷을 입다, 신발을 신다는 '착용'과 관계된 의미

 


4. 단어 간의 의미 관계

어휘란 어떤 일정한 범위 안에서 쓰는 단어의 집합으로, 어휘를 구성하는 단어들은 여러 관계를 맺음

 

1) 유의 관계

의미가 비슷한 것. 의미가 비슷하지만 항상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것은 아님

ex. 책방-서점, 사망하다-돌아가시다

 

2) 반의 관계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것. 반의어는 공통적 의미자질이 있으면서, 한 가지의 의미자질만 달라야 함.

ex. 남자(+생물, +동물, +인간, +남성) - 여자(+생물, +동물, +인간, -남성)

 

3) 상하 관계

두 개의 단어 중 하나의 의미가 다른 의미에 포함될 때.

ex. 동물(상위어) - 돼지(하위어)

 

 


5. 문장 의미 성격

1) 문장 의미

문장은 각 단어의 의미를 합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단어의 배열이나 어떤 묶음에 따라 문장 의미가 달라지기도 함

ex. 배열에 의한 의미 차이: 철수가 영희를 좋아한다, 영희가 철수를 좋아한다.

묶음에 의한 의미 차이: [철수가 영희와] 순이를 좋아한다. 철수가 [영희와 순이를] 좋아한다.

 

2) 문장 간의 의미 관계

- 유의문: 문장의 의미, 뜻이 비슷할 경우

 

- 반의문: 문장이 서로 반대될 때. 

 

- 중의문: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때

 


6. 문장의 전제와 함의

문장의 의미는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과, 드러나지는 않지만 문장에 이미 포함된 부분이 있음.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것은 전제와 함의가 있음.

 

1) 전제

ex. 나는 작년에 본 영화를 기억하고 있다. > '작년에 영화를 보았다'는 전제가 있음. 항상 참이어야 함

 

2) 함의

어떤 문장이 참이면 같이 참이 되는 문장.

ex.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 도둑이 잡혔다는 함의.

 


7. 의미장?

1) 의미장: 공통적 의미를 중심으로 묶이는 단어의 집합.

ex. 빨강, 파랑, 노랑은 색깔이라는 요소로서 의미장을 이룸.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은 '상'으로 묶이나, 최우수상만 본다면 그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저 상이라는 의미장 안에서는 우수상보다 뛰어난 가치를 보여줌.

이렇게, 개별 단어의 의미를 '분리'해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틀 안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이론.

 

 

2) 의미 성분

총각이라는 단어를 +인간 +남성 +미혼 +성숙 등으로 볼 수 있음

이렇게 의미 성분들 분석하면 단어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

 

 


8. 의미 유형

의미를 정확히 정의하기란 어렵지만 리치가 나눈 의미의 7유형을 봐보자..

개념적 의미 언어의 중심 의미
내포적 의미 아빠와 아버지는 개념적으로 같은 의미이지만 아빠가 더 친근하고 화자가 어린아이인 것 같은 느낌에서 내포적 의미가 다름
사회적 의미 언어사  사용되는 사회, 발화자의 성별 직업 계층 등이 결부된 의미
감정적 의미 화자의 감정이 반영된 의미. '다 끝났다!'는 표현은 화자의 억양에 따라 감정적 의미가 기쁨 혹은 포기로 보일 수 있음 
반영적(반사적) 의미 한 언어 표현의 의미가 다른 의미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때.
연어적(배열적) 의미 낱말 배열을 통해 얻게 되는 연상.
주제적 의미 화자가 전달하하고자 하는 의도적 의미. 어순, 강세 등으로 알 수 있음.

9. 의미 변화의 원인

연어적 원인 하나의 단어가 다른 단어와 자꾸 연어적 관계를 가진다면, 하나의 단어만 써도 연어적 의미가 사용된다.
'별로'는 보통 '아니다'라는 단어와 함께 쓰이잖아? 이걸 계속 쓰면 '별로'만으로도 부정적 의미를 보여주는 거야.
또 편의상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하는 것도 의미 변화의 언어적 원인이 된다.
아파트먼트 > 아파트, 콧물을 풀다 > 코를 풀다. 처럼.
역사적 원인 단어가 의미하는 대상이 역사의 흐름에 따라 사라진 경우, 남은 단어의 의미도 변해.
'배'는 원래는 돛단배 같은 나무로 만든 배였으나, 현재는 유람선 등도 포함
사회적 원인 일반적 단어가 특정 사회에서 사용되는 경우 혹은 그 반대
'왕'은 군주 국가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통치자를 의미하지만 현대에서는 무언가를 아주 잘 하거나 크기가 큰 것(왕눈이, 가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변형됨.
심리적 원인 어떤 단어가 비유적으로 쓰이거나 금기어를 대신해 완곡하게 쓰이는 것이 오래되면, 그 단어의 인식이 바뀌는 경우.
죽다의 완곡표현은 '돌아가시다'인데, 이것이 오래 사용되어 본래 뜻(다시 가다)에서 의미가 변함함

10. 의미 변화의 유형

1) 의미의 확대: 단어의 의미가 넓어지는 일반화 현상

ex. 선생. 교사의 존칭이지만 현재는 타인에 대한 존칭으로도 사용

 

2) 의미의 축소: 단어의 의미 영역이 좁아지는 특수화 현상

ex. 미인. 원래 남녀구분이 없었지만 지금은 여자에게 주로 쓰임

 

3) 의미의 전이: 단어의 의미 영역이 변화. 본래 의미를 상실한 것,

ex. 어리다. 중세 한국에서는 어리석다는 의미였지만 지금은 나이가 적다는 의미로 바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