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학의 하위 분야
언어학: 언어의 본질, 기능을 설명하는 학문.
이러한 언어학에는 다양한 하위 분야가 있는데,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1) 음운론
- 언어의 수리 구조, 체계 연구
- 인간의 언어에서 소리가 어떤 규칙으로 이루어지는지?
2) 형태론
- 단어의 형태 변화와 구성 연구(언어의 규칙)
- 단어 내부 구조 설명(형태소, 단어, 품사 등...을 연구해 단어의 결합 관계 공부)
3) 통사론
-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여 각 문장 성분이 구성되는 규칙 연구
- *문장: 인간의 생각,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한의 언어 형식
- 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종류, 종결 표현, 높임 표현 등을 연구
4) 의미론
- 단어의 뜻, 문장의 의미 연구
- 상대의 언어 표현에서 의미를 유추
5) 화용론
- '맥락' 속에서 언어의 사용 연구
- 화자, 청자, 환경에 따른 발화의 요소를 연구해 '맥락'과 관련해 문장의 의미 분석.
- 따라서 언어 자체만이 아닌 '그 언어가 발화된 상황'을 보고, 맥락과 사회 심리적 요인을 설명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