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언어란 무엇인가?(정의, 특성, 기능, 종류, 의미)

김가격 2024. 7. 10. 00:21
반응형
언어란 무엇인가?

1. 언어란?

-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 언어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의사소통함.


2. 언어의 특징

* 인간만이 구사 가능! 동물들도 특정 소리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특정 상황서의 제한적인 반응.

인간이 구사하는 언어의 정교하고 복잡한 언어 체계와는 다르다.

그렇다면 인간의 언어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1) 기호성: 모든 언어는 '소리', 그리고 '의미'가 있다.

ex. 가방. 발음: 가방. 뜻: 물건을 넣어 들거나 메고 다닐 수 있게 만든 용구

 

2) 자의성: 이 소리와 의미는 임의적으로, 사회적 약속으로써 이루어진다.

ex. ⭐ : 한국어로 '별', 영어로 'star'. 각 언어가 쓰이는 사회에서 임의적으로 정해진 거임.

 

3) 사회성: 사회적 약속에 영향을 받는다.

-  사회적 약속에 의해 의사소통이 가능함. 만일 혼자 언어의 소리, 의미를 변경할 경우 타인과 의사소통이 불가능해 질 것.

ex. '책상은 책상이다' 라는 책은 이러한 언어의 사회성을 잘 설명해 준다.

해당 책의 주인공은 혼자 ' 책상 '을 '양탄자'로, '침대'를 '그림'으로 부르는 식으로 마음대로 언어의 의미를 바꾸어 나중에는 다른 사람들과 한마디 대화조차 못하게 된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4) 체계성: 언어는 일정한 체계가 있다. 형태소, 단어, 어절, 문장 등.

 

5) 역사성: 언어는 역사의 흐름에 의해 변하거나, 사라지기도 한다.

ex. 천( 千 ) 의 옛말은 '즈믄'. 반대로 '대박' 등 없던 신조어가 생기기도 함.

 

6) 창조성: 언어는 창조적임. 이전에 없던 말이라도 무한히 생성해 낼 수 있음.

 


3. 언어의 기능

인간은 언어를 통해 의견이나 생각, 감정 등을 주고받는다. 이러한 언어는 상황, 맥락에 따라 여러 기능을 보인다.

 

1) 지시적 기능: 정보 전달

ex. 내일 비 온대.

 

2) 감정적(정서적) 기능: 감정, 태도 표현

ex. 거짓말! 너무 화나는데!

 

3) 명령적 기능: 청자에게 특정 행동을 하게끔 하거나 태도를 보이게 함.

ex. 커피 좀 사다줄래?

 

4) 친교적 기능: 사회적 기능을 원활하게 함

ex. 잘 지내세요?

 

5) 미적(시적) 기능: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청자가 감상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더 아름답게 함

ex. 밤하늘의 별을 따서 너에게 줄래

 


4. 언어의 종류

음성 언어 발음 기관을 통해 나는 소리로써 구현 주로 화자, 청자가 같이 있을 때 사용 > 일시적, 순간적, 직접적
+ 당시의 맥락에 영향 받기도 함
문자 언어 문자를 매체로 한 언어 - 시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음
- 맥락 영향도 적음
- 시각적임(봐야 하니까) > 표기법 존재(맞춤법), 보다 격식적

 


5. 언어의 의미

여기서 저 남자가 여자한테 말하는 건 말소리가 되고 여자가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건 의미가 되겠져

 

언어는 말소리와 의미로 이루어짐

말소리 귀에 들리는 물리적이고 구체적인 현상
의미 언어를 들을 때 떠오르는 추상적 내용

 

이러한 의미는 종류가 또 있다.

 

1) 중심적 의미, 주변적 의미

중심적 의미 한 단어가 여러 의미가 있을 때, 가장 기본적이며 핵심적인 의미
주변적 의미 중심적 의미를 제외한 여러 다른 의미

ex. 내일 별을 관측할 거다.(중심적 의미의 별) > 의학계의 큰 별이 졌다. (주변적 의미의 별)

 

2) 외연적 의미, 내포적 의미

외연적 (개념적, 사전적) 의미 한 단어가 가진 가장 기본적 의미(1차적)
내포적 (함축적) 의미 연상되거나 관습에 의해 형성되는 의미(2차적)

 

'여성'이라는 단어는 사전적으로는 생물학적 성별을 나타내지만, 관습에 의해 함축적으로는 친절하거나 섬세하거나 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도 하다.

 

 

3) 사회적 의미, 정서적 의미

사회적 의미 화자의 환경과 관련된 의미
정서적 의미 언어 표현으로 화자, 청자의 태도 및 감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의미

ex. '패러다임' 과 같은 단어를 쓰는 것에 미루어 보아 화자가 교육을 받은 사람임을 알 수 있음.

또한 같은 '여보세요'더라도 억양 등에 의해 화자의 감정을 추측할 수 있음.

 

4) 주제적 의미, 반사적 의미

주제적 의미 악센트, 어순 등으로 화자가 특별히 드러내려 하는 의미
반사적 의미 그 단어의 의미와는 관계없이 특정한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의미

ex. 또 잡혀버렸다, 그 사슴이. > 해당 어순을 통해 화자가 드러내고자 하는 의미를 추측할 수 있음.

해두해두 너무해 오해두 씨는 그냥 이름일 뿐이지만 특정한 반응을 불러일으켜 이 포스터로 화제가 됨.

 

5) 연어적 의미

- 단어의 배열 문맥에 의해서 얻는 연상적인 의미

 


 

반응형